본문 바로가기

자료실/기타잡다지식

필터의 종류

필터(FILTER)란 말 그대로 걸러주는 역활을 말 하는것 입니다.
정수기에 들어가는 필터는 수질필터....
공기 정화기에 들어가는 필터는 에어(공기)필터....
카메라 렌즈에 사용하는 필터는 ?????

1) UV 필터

많이 들어본 말일 것 여요.
말 그대로 자외선 방지 필터이지요.
소위 렌즈보호용 필터라고도 하는데.
원래의 사용목적은 바로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자외선 흡수의 역할 때문입니다..^^

그럼 이 필터는 끼는 이유는?

예를 들자면 풍경사진을 찍을 때에 자외선이 강하면 흑백사진에서는 멀리 있는 경치의 콘트라스트가
약해지고, 컬러 사진에서는 청자색으로 흐려집니다.
그런데 왜 렌즈 보호용 필터라고 하느냐.
그것은 uv필터는 무색투명한 광학유리로 자외선을 걸러주는 역할 이외에는 사진에 별 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보통 때에도 늘 끼우고 다니게 마련이지요.
그러다보니 렌즈 보호 필터라고 부르게 된 것이랍니다.
요즘 mc(멀티코팅)된 uv필터를 많이 쓰지요~
로덴스톡이나 슈나이져처럼 고급 브랜드의 제품이라서 가격도 좀 비싼게 흠입니다.
그래도 추천을 해드리자면 호야나 mc uv필터를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이 코팅의 역할은 투과광의 비율을 높여주는데 있는데, 카메라 렌즈가 아무리 좋으면 모해요~
앞에서 필터에서 투과광의 손실을 가져오면..
렌즈의 고유한 성능이 저하되면....
아주 곤란한 경우가 생기죠.
특히, uv필터는 항상 끼우고 다니는 필터이니 필터의 투과성능에 문제가 없어야 되겠죠.
그래서 mc uv 필터를 추천하는 거랍니다.
좋은 사진으로의 한 발짝 다가서는 길이기도 한다는.


2) 스카이라이트(skylight) 필터

이 필터는 지외선 흡수율이 낮은 약자외선 흡수 필터이지요.
비록 자외선 흡수율이 낮지만, 분홍빛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색 보정 효과가 있어요.

예를 들면 푸른 하늘이 있는 맑은 날의 인물이나 건물 등의 촬영에서는 푸른 하늘빛으로 인한 푸른 기미를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답니다.

그래서 종종 uv필터 대신 이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푸른 하늘빛이 강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흔히 uv 필터를 흑백용. 스카이라이트 필터를 컬러용으로 구분하는 사람도 있지만.
자외선 제거용 필터는 어디까지나 uv 필터입니다.


3) PL 필터 (편광 필터)

이 필터 또한 많이 들어보신 거죠?
PL필터 사용 시에 효과에는 이런 것들이 있답니다.

- 유리면이나 광택 면에 비친 잔영을 제거해줌.
특히 쇼윈도 안에 진열된 상품이나 유리가 끼워져 있는 유리액자 사진 찍을 때에 유용합니다.

- 하늘의 푸른색이나 푸른 바닷물 색을 진하게 해줍니다.

- 나무 잎 등의 원래 색을 뚜렷이 표현해줍니다.

고로.. 난반사를 없애는 필터라고 하지요.
실내에선 노출 마이너스를 가져오는 실내에선 사용 안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소프트 필터 (Soft filter)

초점이 약간 흐린 듯 한 부드러운 묘사를 해주는 필터입니다.
가령, 인물사진을 찍을 때 피부의 거친 느낌을 없애주거나.
더욱 여성적인 피부를 강조해준답니다.
아~ 참 이쁜 꽃을 찍을 때도 유용하죠.


5) 크로스 필터 (Cross filter)

이것도 많이 들어보신 필터라고 알고 있습니다.
보통 야경을 찍을 때 많이 사용되는 필터이지요.
반짝이는 빛이나 물체의 표면의 반사광을 십자형으로 길게 쪼개어 빛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역광에서의 태양. 호숫가의 물의 반사, 그리고 밤 풍경(유후~ 빙고~)의 가로등을 십자가로 크로스!!! 시켜주지요.
야경 때 조리개를 조이면 크로스 효과가 나긴 하지만 이 필터의 것과는 다른 효과이기에 써보심 알게 됩니다.

6) 포기(FOGGY) 필터

영어를 중학교까지만 하신 분이면 다 안다는 그 안개입니다.
그래서 안개필터라고 하지요~ 인물사진에 많이 쓰이고요.
대강 짐작되시리라 생각하지만 그 표현되는 약간 환상적인 분위기 때문에 실내 촬영에 아주 적합하지요.
그중에서도 결혼식장의 신부를 찍으면 나중에 그 신랑분의 밥을 거하게 쏘신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7) ND필터

특정한 파장 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거의 같은 정도로 투과량을 감소시켜 색 균형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해주는 필터입니다.
중성농도(Neutral Density : 색에대해 중림적 성질을 같는 농도) 필터라고도 부릅니다.
실제 사용되는 ND필터는 재질에 따라 가시광선 대역의 각 파장에 대해 투과시켜 주어, 느린 셔터로 동적인 느낌이나 특수한 효과를 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칼라나 흑백사진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8) 모노톤 필터(Monotone filter)

ND(Neutral Density : 중성농도) 필터로서 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너무 많을 때나 피사체의 색에 빛이
너무 많을때 , 피사체의 색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투과하는 빛의 양만을 억제시켜 주는 필터입니다.
이 필터는 주로 밝은 날에 렌즈의 조리개를 열어서 피사계 심도를 얕게 하거나 셔터 속도를 줄여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필터들을 함 정리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