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환경
우선 VGA를 지원하는 사전을 사용해 볼 수 있게 해준 디오텍과 하이엔드 카페에 감사의 말을 전한다. 3주나 되는 시간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사정으로 후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 하지 못한게 아쉽다. 처음 계획했던 구동시간과 다른 사전과의 비교 등을 해보지 못한게 아쉽다.
PDA : hx4700 (램업기기)
설치 장소 : SD카드 (Digix MLC 150X)
해상도 : Standard VGA (192dpi)
필자는 RealVGA의 시원한 화면을 좋아하지만 입력기가 자유롭지 못해 보통 스탠다드 VGA를 사용한다
그래서 자주 사용하는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한다.
사전을 쓰면서 생각나는 것을 하나씩 스샷 찍으면서 정리를 했기 때문에 리뷰 순서는 두서 없이 진행 될 수 있고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시각으로 리뷰를 쓴다는 것을 미리 밝힌다.
PDA 사전이라는 것 역시 PDA 프로그램의 일부로 같은 PDA를 쓰더라도 OS나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성능이 틀릴 수 있기 때문에 성능에 대한 이야기에는 고려를 해야한다.
실행화면
QVGA에서의 실행화면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QVGA의 화면은 디오텍 홈페이지에서 소개된 조현기님의 프리뷰(http://jogun.tistory.com/248)에서 참고한다.
이미 많은 후기에서 봤듯이 VGA에서 구현하는 깔끔한 혼트와 아이콘들이 특징이다. 시원시원한 화면 크기.
하지만 QVGA를 확대만 시켜놓은 것 같은 이 화면,,
메뉴설정에서 글자의 크기를 좀 더 낮추어 쓸 수 있으면 좋겠다. (현재는 폰트 크기 10)
초기 구동시간
생각 보다 위의 화면이 뜨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 같아서 구동 시간 테스트를 하게 되었다.
1차. 14"02 - PDA 소프트 리셋 후 바로 실행
2차. 13"02 - 사전 한번 실행 종료 후 재실행
3차. 12"77 - 사전 실행 종료 후 재실행
4차. 12"71 - 사전 실행 종료 후 재실행
5차. 12"41 - 사전 실행 종료 후 재실행
6차. 46"81 - PDA 소프트 리셋 후 바로 실행
7차. 39"33 - 사전 한번 실행 종료 후 재실행
8차. 42"47 - 사전 실행 종료 후 재실행
9차. 94"07 - PDA 소프트 리셋 후 바로 실행
10차. 51"32 - PDA 소프트 리셋 후 바로 실행
결과를 보면 알겠지만 같은 기계로 테스트를 해보았지만 시간차이가 매우 많이 나는것을 볼 수 있었다.
속도 저하는 PDA의 문제인지 느린 SD 카드 문제인제 소프트웨어 문제인지 확인 해보진 못했다.
가장 빠른 시간으로 실행된 10초 초반대 실행 시간은 전자사전을 쓰기 위해 PDA를 찾는 사람의 발길을 돌릴 만한 굼뱅이 구동 시간이다. 거기다 가끔 30초 조차 넘겨 버리는 실행 시간은 PDA를 사전 대용으로 쓰기엔 좀 버겁게 만든다.
필자는 저속의 SD카드를 사용하고 설치한 프로그램이 많은 관계로 성능에 대한 문제는 자신의 PDA를 이용해 보는게 좋겠다.
입력기
파워딕에서 자체 제공하는 입력기와 OS 자체에서 제공하는 키보드를 사용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자체 제공하는 입력기는 가독성도 높고 반응도 빠르다.
단어 검색 (추천 단어 검색)
위와 같이 영문이나 한글, 중국어 까지 모두 검색을 할 때 키보드 단위로 비슷한 단어 검색을 하기 때문에 변환 속도가 너무 느리다.
키보드가 눌릴 때 마다 비슷한 단어를 검색하는 것은 좋지만 그 때 마다 비슷한 단어의 검색 결과까지 출력해주는건 시스템 리소스의 낭비가 아닐까 싶다.
위와 같이 포탈 사이트의 추천단어 검색 처럼 단어만 따로 알려줌으로 키보드 검색마다 지금까지 입력된 단어 혹은 비슷한 단어의 뜻을 검색하느라 시스템 리소스를 잡아먹는 일을 줄였으면 한다. 또한 추천 단어 검색 기능을 끌 수 있도록 스위치가 있으면 좀 더 빠른 검색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유용한 기능이 모두에게 필요한 기능은 아니니까..)
형광펜
단어박스에서 단어에 색상 표시를 해주거나 앞에 형광펜 칠해진 표시를 해 준다면 좀 더 강력한 기능이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단어장
개인적으로 파워딕에서는 단어장이 대박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검색한 단어를 단어장 등록을 해두면 손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파워딕에서는 TTS 기능을 먼저 켜고 선택하는 단어의 발음을 들을 수 있는 기능(단어를 선택하고 TTS를 실행하는 것과는 다르다)이 있고 각 단어의 암기 기능과 단어의 뜻을 알려주고 키보드가 아닌 펜으로 스펠링 하나하나를 써서 단어를 맞추는 퀴즈 기능이 있다.
각 단어는 사전별로 분류되어 단어장에 저장된다.
설정
설정 옵션은 화면에서 보이는 직관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스샷으로 대신한다.
옵션중에 추천단어 자동 검색 기능을 끌 수 있는 옵션만 생겼으면 한다.


총평
Real VGA를 이용해서 화면 해상도를 높게 해둔 상태에서도 파워딕 기본 입력기는 적당한 크기의 입력기를 보여주었고 사용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았다. 기본 입력기를 파워딕에서만 사용하지 않고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었으면 하는 욕심을 내보았다.
내가 느낀 파워딕의 가장 큰 장점은 단어장의 활용능력이었다. 하이퍼텍스트가 제공하는 사전내 단어 찾기의 편리함과 빠른 찾기를 이용한 전자문서에서의 활용이 뚜렷한 장점으로 들 수 있다.
전체적으로 UI나 기능면에서는 상당히 우수한 점수를 주고 싶지만 단점으로는 기능이 많아서인지 속도가 너무 느린것 같다. 초기 구동속도와 검색할 때 한자씩 새로운 검색을 하는 방법은 수정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TTS 엔진을 단어 조합으로 이용하다 보니까 어색하고 너무 빨라서 못알아듣는 경우가 많은데 어색한 발음이야 둘째 치고라도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기능이라도 넣어줬으면 한다.
위의 단점을 조금 더 잡을 수 있다면 PDA 상용 전자사전으로서 충분한 매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로서 지극히 주관적인 파워딕 2.0의 사용 소감을 마친다.
'자료실 > P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A(LG-KC1)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리스트 (0) | 2007.11.23 |
---|---|
4500 SafeStore 활용하기 (0) | 2007.08.31 |
[시스템] CAB 파일을 윈도우에서 바로 설치하기^^ (2) | 2007.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