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PDA
4500 SafeStore 활용하기
우리랑.
2007. 8. 31. 12:20
SwingStore의 setupfiles는 통신사 관련 4개의 프로그램을 설치해주는 exe파일들이 있는 폴더입니다.
여기의 exe파일들은 한번 실행된적이 있으면 더이상 실행되지 않는 파일들로써...
이 폴더의 용량이 6M정도인데 과감히 지워도 됩니다.
하드리셋후에 다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폴더는 삭제되어 없어졌다고 하면 하드리셋후에
SafeStore라고 숨겨진 저장소에서 복사되어 다시 생성되므로 맘 푹 놓고 지워도 됩니다.
정확한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하드리셋, 소프트리셋 모두 동일합니다.)
1. SwingStore의 setupfiles라는 폴더의 exe파일들이 실행한적이 있는지 체크
(실행한적 있으면 여기서 중단)
2. 실행한적이 없으면 setupfiles라는 폴더와 해당 exe파일들이 있는지 확인
(파일들이 존재하면 5번으로 이동)
3. 파일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setupfiles라는 폴더를 생성
4. SafeStore의 setupfiles라는 폴더를 SwingStore에 복사
(SafeStore에 setupfiles가 없으면 여기서 중단)
5. SwingStore의 setupfiles폴더 안에 있는 exe파일들을 실행
즉, 다시말해 SafeStore는 통신사관련 4개의 파일을 하드리셋후에 자동설치해주기 위한
저장소역할만하는 곳이며 다른 어떤 역할도 안합니다.
통신사 관련 4개의 프로그램 설치 안되어 있다고 해서 M4500에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SafeStore의 setupfiles 폴더를 지워서 활용해도 된다는 결론입니다.
SafeStore는 숨겨진 저장소 공간이므로 레지스트리 수정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부분을 레지스트리 수정하면 됩니다.
----------------------------------------------------
[HKEY_LOCAL_MACHINE\System\StorageManager\Profiles\ONDisk3\FATFS]
"MountHidden"=dword:00000000
"MountPermanent"=dword:00000000
----------------------------------------------------
이렇게 해서 SafeStore를 보이게 한후 setupfiles 폴더를 지우고..
늘어난 10M의 용량을 요긴하게 사용하세요.
여기까지는 평상시 사용이고요.. 이것으로 더이상 작업없이 사용해도 됩니다.
이제부터는 하드리셋하였다는 가정하에 다시 글을 쓰겠습니다.
하드리셋이 되면 setupfiles가 어디에도 없으므로
통신사 관련 4개의 프로그램이 설치만 안된 상태로 사용에 전혀 지장없이 초기화됩니다.
그러나 통신사 관련 4개의 프로그램이 설치된적이 없기때문에...
계속적으로 리셋이 되면 setupfiles폴더를 생성하면서 설치를 시도합니다.
이런 반복 작업이 안 일어나게 하는 팁을 올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SwingStore에 존비처럼 지워도 지워도 생성되는 setupfiles를 없애보겠습니다.
SwingStore의 setupfiles라는 폴더에 기존 폴더와 동일한 이름의 exe파일을 넣어놓고
소프트리셋하면 실행된적이 없기 때문에 이것들을 실행해서 설치할겁니다.
그러므로, 4개의 통신사 프로그램을 사용 안한다면
실행후 바로 죽는 exe파일을 이름만 동일하게 같은 위치에 올려놓으면 됩니다.
첨부파일은 실행후 바로죽는 exe파일들과
레지스트리 수정을 Resco File Explorer에서 바로 실행하여 적용할 수 있는 reg파일입니다.
Nespot CM은 무선랜 사용을 위해 필요하리라 생각이 되어 원본을 넣었고요.
나머지는 실행후 바로죽는 exe파일들입니다.
Nespot CM말고 다른 무선랜 접속 프로그램을 원하면...
Nespot CM 설치용 exe도 바로 죽는 exe파일로 바꿔치기하면 됩니다.
그럼 늘어난 15M가 요긴하게 사용하세요.
(SafeStore 9.XM + SwingStore\setupfiles 5.XM = 15M)
여기의 exe파일들은 한번 실행된적이 있으면 더이상 실행되지 않는 파일들로써...
이 폴더의 용량이 6M정도인데 과감히 지워도 됩니다.
하드리셋후에 다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폴더는 삭제되어 없어졌다고 하면 하드리셋후에
SafeStore라고 숨겨진 저장소에서 복사되어 다시 생성되므로 맘 푹 놓고 지워도 됩니다.
정확한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하드리셋, 소프트리셋 모두 동일합니다.)
1. SwingStore의 setupfiles라는 폴더의 exe파일들이 실행한적이 있는지 체크
(실행한적 있으면 여기서 중단)
2. 실행한적이 없으면 setupfiles라는 폴더와 해당 exe파일들이 있는지 확인
(파일들이 존재하면 5번으로 이동)
3. 파일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setupfiles라는 폴더를 생성
4. SafeStore의 setupfiles라는 폴더를 SwingStore에 복사
(SafeStore에 setupfiles가 없으면 여기서 중단)
5. SwingStore의 setupfiles폴더 안에 있는 exe파일들을 실행
즉, 다시말해 SafeStore는 통신사관련 4개의 파일을 하드리셋후에 자동설치해주기 위한
저장소역할만하는 곳이며 다른 어떤 역할도 안합니다.
통신사 관련 4개의 프로그램 설치 안되어 있다고 해서 M4500에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SafeStore의 setupfiles 폴더를 지워서 활용해도 된다는 결론입니다.
SafeStore는 숨겨진 저장소 공간이므로 레지스트리 수정을 해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부분을 레지스트리 수정하면 됩니다.
----------------------------------------------------
[HKEY_LOCAL_MACHINE\System\StorageManager\Profiles\ONDisk3\FATFS]
"MountHidden"=dword:00000000
"MountPermanent"=dword:00000000
----------------------------------------------------
이렇게 해서 SafeStore를 보이게 한후 setupfiles 폴더를 지우고..
늘어난 10M의 용량을 요긴하게 사용하세요.
여기까지는 평상시 사용이고요.. 이것으로 더이상 작업없이 사용해도 됩니다.
이제부터는 하드리셋하였다는 가정하에 다시 글을 쓰겠습니다.
하드리셋이 되면 setupfiles가 어디에도 없으므로
통신사 관련 4개의 프로그램이 설치만 안된 상태로 사용에 전혀 지장없이 초기화됩니다.
그러나 통신사 관련 4개의 프로그램이 설치된적이 없기때문에...
계속적으로 리셋이 되면 setupfiles폴더를 생성하면서 설치를 시도합니다.
이런 반복 작업이 안 일어나게 하는 팁을 올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SwingStore에 존비처럼 지워도 지워도 생성되는 setupfiles를 없애보겠습니다.
SwingStore의 setupfiles라는 폴더에 기존 폴더와 동일한 이름의 exe파일을 넣어놓고
소프트리셋하면 실행된적이 없기 때문에 이것들을 실행해서 설치할겁니다.
그러므로, 4개의 통신사 프로그램을 사용 안한다면
실행후 바로 죽는 exe파일을 이름만 동일하게 같은 위치에 올려놓으면 됩니다.
첨부파일은 실행후 바로죽는 exe파일들과
레지스트리 수정을 Resco File Explorer에서 바로 실행하여 적용할 수 있는 reg파일입니다.
Nespot CM은 무선랜 사용을 위해 필요하리라 생각이 되어 원본을 넣었고요.
나머지는 실행후 바로죽는 exe파일들입니다.
Nespot CM말고 다른 무선랜 접속 프로그램을 원하면...
Nespot CM 설치용 exe도 바로 죽는 exe파일로 바꿔치기하면 됩니다.
그럼 늘어난 15M가 요긴하게 사용하세요.
(SafeStore 9.XM + SwingStore\setupfiles 5.XM = 15M)
네스팟 CM만 설치하고 나머지는 설치 안하는 패키지